동문서답

한국 사람이던 아니던 관계없이 막무가내 한국말로, 그 것도 사투리로, 해대는 어느 할머니가 LA 한인 타운의 버스정거장에 헐레벌떡 도착했다.  버스가 왔었는지 궁금한데 마침 웬 백인 할머니가 기다리고 있으니 습관대로 사투리로 말을 건다.  “왔데이?”  그런데 오늘이 무슨 요일이냐고 묻는 줄로 알아들은 이 백인 할머니는 마침 월요일임으로 “Monday”하고 대답했다.  뭐가 왔었냐고 묻는 거냐고 되물은 것으로 들은 이 사투리 할머니는 “버스데이”라 대답했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백인 할머니가 아 오늘이 이 사람 생일이구나 하고는 “Happy Birthday!”하는데 마침 기다리던 버스가 오니 둘이 같이 버스를 탔다.  사투리 할머니는 말동무도 해준 백인 할머니가 고마워 “고맙데이”하니 무슨 날이라고 했는데 잘 못 들은 줄 안 이 백인 할머니는 “What day?”하고 되묻는다.  그랬더니 마침내 버스가 왔다고 말 한 것으로 알아들은 이 사투리 할머니도 “왔데이” 대답하고 각자 행선지로 잘 갔다.  동문서답 치고는 아주 잘 된 경우이다.

동문서답의 시초는 역시 아담과 하와였다.  선악과를 따 먹은 후 두려워서 숨은 이들에게 하나님은 왜 숨었냐고 물으신다.  먹지 말라고 하나님께로부터 받은 분부를 어기고 선악과를 따 먹었기에 숨었노라 대답하지 않고 벌거벗어 두려워서 숨었다고 짐짓 핵심을 피한 대답을 한다.  아마도 벌거벗은 부끄러움은 선악과를 따 먹은 결과로 알게 된 것이라는 사실을 몰랐을 것이다.  또 그렇게 둘러대도 하나님이 모르시리라 생각했을지도 모르겠다.  동문서답의 절정은 동생 아벨을 죽인 가인에게 하나님이 네 아우 아벨이 어디 있느냐 물으실 때 벌어진다 – “내가 내 아우를 지키는 자니이까?”  여기서 배워 우리는 사무실에서 누가 “너 아무개 어디 있는지 아니?” 하고 물으면 “It’s not my turn to watch him.” 하고 대답한다.

구약시대 초기에는 이렇게 하나님이 직접 우리들과 교통하시었고 그 후로는 선지자들을 통해서 말씀하시었다.  예수님의 공생기에는 예수님이 직접 우리들과 대화하시었고, 주님의 승천 후에는 보혜사 성령을 통해서 하나님은 우리와 대화하신다.  오늘 이 순간도 하나님은 성령을 통해서 많은 질문을 우리에게 하신다.  너 생활이 어려운 아무개 좀 도왔니?  몹시 아픈 아무개를 위해서 기도 하고 있어?  너는 너무 독선적이야,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존중하고 예의 좀 지켜라.  교회가 이런 저런 일들로 도움이 필요한데 자원 좀 해.  오지에서 고생하는 아무개 선교사는 너희 구역에서 지원하기로 되어 있는데 실질적인 지원은 고사하고 진정으로 위해서 기도는 하고 있니?  내가 분명히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로 라고 일렀지?  그건 세금에 대해서만 한 말이 아니야.  세상의 법도 잘 지키며 살고 있니?  이런 주님의 질문에 가인과 같은 동문서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 흠칫 놀란다.

이쯤에서 몇 가지 짚고 갈 일이 있다.  왜 하나님은 인간을 아무 생각 없이 시키는 대로만 하는 로봇같이 지으시지 않고 자유의지를 주셨을까?  성경을 읽고 묵상하는 사람이라면 의문을 갖고 한 번 쯤은 고민 해 본 주제이다.  그러셨더라면 먹지 말라는 선악과를 절대로 먹지 않았을 터인데.  하나님은 그런 기계적인 복종보다는 선택의 여지가 있을 때 의지적으로 결정하여 따라오는 순종을 원하시었을 것이다.  컴퓨터를 프로그램 하여 전원을 켰을 때 “당신을 사랑합니다.”라고 말하게 하였다고 그 컴퓨터가 나를 사랑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겠는가?  하나님은 직접 아담에게 선악과를 먹지 말라고 분부하셨는데 사탄의 속삭임에 하와가 고만 일을 저지른다.  하나님과 대면하여 교통하던 때였다.  의지적인 선택으로 순종하기를 기대하셨던 하나님께서 큰 실망을 하신 것은 당연하다.  지금은 어떠한가?  육신의 눈에 보이지 않는 성령님이 육신의 귀로 들을 수 없는 소리로 우리에게 말씀하신다.  하나님과 직접 대면하고 직접 교통 할 때와 마찬가지로 성령님의 인도도 우리의 의식을 잃게 하여 따라가게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의지적으로 결정하고 따라가게끔 끊임없이 감화하시는 것이다.  우리가 영적으로 깨어있을 때 좀 더 세밀하게 주님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말씀을 지식으로 대하지 말고 묵상하며 기도로 하늘의 지혜를 구해야 하겠다.  그리고 말씀 앞에 무릎 꿇는 그러한 자세로 주님 앞에 나아가야 하겠다.

하루 속히 주님과의 동문서답에서 벗어나기를 기다리며 …

(2008년 1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