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순례 – 3.16. 예루살렘

예루살렘은 터 또는 기초라는 뜻의 ‘예루’와 평강이라는 뜻인 ‘살렘’을 합성하여 평강의 터 또는 평화의 도시라는 뜻이다. 예루살렘은 해발 약 2,490 ft(740 m)에 이르는 유다 산지에 위치하여 이 일대에서 가장 높은 지역이다. 동쪽에는 기드론 골짜기( 삼하 15:23, 요 18:1 등, 당시에는 물이 흘러 기드론 시내로 기록되어 있다) 서쪽과 남쪽 방향으로는 힌놈의 골짜기(수 15:8 등, 당시 쓰레기 소각장과 바알과 몰렉에게 인신제사를 치르는 산당이 있었다)가 있어 훤히 내려다 보이고 북쪽만 중앙산맥으로 이어져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어 천혜의 요새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형으로 인해 예루살렘 침공은 거의 모두 북쪽으로부터 감행되었다. 예루살렘은 2번 완전히 파괴되었었고 100여회에 걸쳐서 침략, 정복, 탈환이 반복된 세계사 상 가장 파란만장한 도시 중의 하나이다.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에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예루살렘에 장차 하나님께서 어떻게 역사하실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예루살렘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이며 현대 이스라엘의 수도이다. 그러나 국제사회에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스라엘의 건국과 동시에 발발한 아랍과의 전쟁으로 예루살렘은 동서로 나뉘어졌는데 6일전쟁 이 후 이스라엘이 동 예루살렘을 탈환하지만(3. 이스라엘 참조) 팔레스타인의 반발로 UN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모든 관공서를 예루살렘에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 이스라엘 주재 대사관들은 대부분이 텔아비브에 있어 미묘한 국제정세의 소용돌이가 느껴지는 현장이다. 유대교, 구교, 정교, 신교에 이슬람교까지 성지로 여기고 있는 예루살렘, 신비의 도시임에 틀림없다. 국제정세 상으로도 West Bank와 더불어 예루살렘은 가히 중동의 태풍의 눈이라 하겠다. 여하간 현대에 와서 예루살렘은 지명으로 도시, 성, 성전을 지칭할 때 일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루살렘은 예루살렘 성을 중심으로 구 예루살렘과 성 밖에 세워진 신도시 예루살렘, 또는 동 예루살렘과 서 예루살렘으로 구별하여 부르기도 한다. 좀 헷갈리겠지만 구 예루살렘은 동 예루살렘에 있다.

성경에 예루살렘은 살렘(창 14:18, 성경에 처음으로 예루살렘이 기록된), 예루살렘(수 10:1), 여부스(수 18:28), 시온산성 또는 다윗 성(삼하 5:7), 아리엘(사 29:1), 여호와의 성읍(사 60:14), 모리아 산(대하 3:1) 등 다양한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전 1000년경 다윗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다윗 성이라 명명한 후 통일왕국의 수도로 삼고 언약궤를 이 곳으로 옮긴 후 예루살렘은 팔레스타인의 중심지가 되었다. 다윗의 아들 솔로몬은 다윗 성 북쪽 모리아 산상에 성전을 건축(대하 3:1)하여 언약궤를 성전 안에 보관하였다. 솔로몬 이후 왕국은 남북으로 갈라지고 예루살렘은 남유다의 수도가 되었다. 주전 586년경 바벨론에 의해 예루살렘은 파괴되었는데 바사 왕 고레스의 칙령으로 풀려난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전(스룹바벨 성전, 스 3:8-13)과 성벽(느 6:15-16)을 재건한다. 그 후 로마, 이슬람, 이집트, 몽골, 터키 등으로부터 끝없는 침략을 받는다. 앞에 소개한 이스라엘의 고농축 역사는 예루살렘이 팔레스타인의 중심지였기에 그대로 예루살렘에 적용된다. 구 예루살렘 일대에는 수 많은 유적이 있기에 따로 소개하기로 한다.


예루살렘 Interactive Google Map


신약시대의 예루살렘 약도

현재 구 예루살렘 일대의 약도

Old_Jerusalem Area

(2012년 3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