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순례 – 3.23. 성묘교회와 십자가의 길: XI – XIV

십자가의 길 Station XI부터 XIV까지는 성묘(聖墓)교회 안에 있다. 그러니 먼저 성묘교회에 대해서 알아보고 십자가의 길을 계속한다. 성묘교회는 예수님의 무덤이 있는 교회로 기독교에서 가장 성스러운 곳이다. 골고다 언덕에서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시고 장사되었으며 사흘 후에 부활하신 그 모든 일이 벌어진 바로 그 곳에 세워진 기념교회이기 때문이다. 골고다 언덕은 예수님 당시에는 성 밖에 있었으며 무덤이나 있는 흉흉한 곳이었다. 로마는 예루살렘을 정복한 후 이 곳에 아프로디테 신전을 세웠다. 주후 324년에 성지순례 차 예루살렘을 방문한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어머니 헬레나는 로마 신전의 자리가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셨던 골고다 언덕이라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에 아들의 힘을 빌어 신전을 헐어버리고 일대를 탐사하던 중 예수님의 무덤과, 전설에 의하면 예수님이 달리셨던 십자가를 발견했다 한다. 이래서 성묘교회는 주후 333년에 골고다에 지어졌다.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성묘교회는 614년에 페르시아에 의해서 파손되었고 630년에 보수되었지만 1009년에 당시 이집트를 위시한 북 아프리카를 제패한 화티미 왕조에 의해서 완전히 파괴되었다. 이는 모슬렘들의 성전파괴운동으로 발전되었고 십자군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1027년경 화티미와의 협정으로 성묘교회의 재건이 시작되었는데 부분적인 보수공사로 진행되었다. 1099년 십자군에 의해 마침내 예루살렘이 탈환되었고 그 후에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고 1149년에 골고다 언덕에 있는 여러 교회가 하나의 교회로 통합재건 되었다. 그 후에도 여러 번 지진 및 화재로 파손되고 복구되는 역사의 반복 속에 현재의 교회는 1959년 이후에 계속되어 오는 복구 및 건축작업의 결과로 세워진 교회이다.

성묘교회만 다 보려 해도 2시간 이상이 걸린다는데 단체로 다니는 순례이다 보니 십자가의 길에 해당하는 곳만 바쁘게, 그것도 순례자들로 북적거리는 가운데 보려니 사진 몇 장 찍기가 고작이었다. 순례기를 정리하며 여기 저기 연구하다 보니 못 본 곳이 본 곳보다 더 많았음을 알았다. 그래서 이스라엘 만 따로 한 번 더 가야겠다는 생각이 더 든다.


성묘교회 도면 – 도면출처 BibleWalks.com

성묘교회 전경. 사진 오른편에 보이는 아치 앞이 Station X이다 – 사진출처 Wikipedia

성묘교회의 두 돔 – 사진출처 BibleWalks.com

성묘교회 안에서 올려다 본 두 돔, 앞쪽의 돔 밑에 예수님의 묘가 있다 – 사진출처 Wikipedia

XI.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신 곳 – Chapel of Calvary 제단에 있는 벽화. Chapel of Franks는 Chapel of Calvary를 통해서 들어가게 되어있다.

XII.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신 곳.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십자가 상 앞에 제단 아래로 은으로 만든 쟁반 같은 것이 있는데 십자가가 서 있던 자리의 표시이다. 많은 순례자들 특히 천주교 신자들이 제단 밑으로 엎드려서 기어들어가 그 쟁반에 입을 맞추고 기도한다.

XIII. 예수님의 시신을 십자가에서 내려 놓았던 곳. 많은 순례자들이 이 돌에 입을 맞추고 수건 등으로 비비며 기도하는데 너무나 많은 인파로 이 사진도 겨우 찍었다.

XIV. 십자가의 길의 마지막 지점으로 예수님의 무덤이다. 가운데 보이는 적은 문으로 들어가는데 역시 인산인해로 일정이 바쁜 우리는 밖에서만 보고 …

성묘 내부 – 사진출처 BibleWalks.com

옆에서 본 성묘

(2012년 3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