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순례 – 3.24. 통곡의 벽

통곡의 벽은 황금돔 사원과 엘 악사 사원을 둘러싼 벽의 일부인데 성전 산(Temple Mount)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통곡의 벽(Wailing Wall)은 서쪽의 벽(Western Wall)이라고도 불린다. 성전 산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가 성지로 여기는 곳이다. 유대교와 기독교에서는 성경에 기록은 되어 있으나 그 위치가 확실치 않은 모리아 산(창 22:2, 대하 3:1)이 바로 성전 산이라고 믿고 있으며 또한 성전이 세워졌던 곳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광야 생활 때 성막을 지었는데 이는 이동 성전이었다. 솔로몬이 성전을 건축하고 언약궤를 안치한 후 비로소 여호와 하나님께서 이 땅에 임재하시며 거룩한 제사가 드려지는 곳이 세워진 것이다. 예루살렘 편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성전은 건축, 재건, 파괴가 반복되는데, 첫째 성전이 솔로몬 성전이며, 둘째가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후 스룹바벨이 세운 성전, 셋째가 헤롯 대왕이 유대인들의 환심을 얻기 위해 증축한 성전이다. 그런데 첫째 성전이 바벨론에 의해 주전 586년 아브(Av, 히브리 달력으로 한글로 ‘압’이라고도 표기하며 태양력의 7/8월에 해당함)월 9일에 파괴되었고, 셋째 성전이 로마군에 의해 주후 70년 같은 날 아브월 9일에 파괴되었다. 그리고 주후 135년 바르 코크바(Bar Kokhba)의 난을 평정한 로마는 예루살렘에서 유대인들을 완전히 추방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성전파괴를 애도한다는 목적으로 일년에 한번 아브월 9일에 입성이 허락되었다. 처음에는 성전 산으로 모여 통곡하며 기도하던 유대인들이, 당시 유일하게 남아있던 성전의 일부인 헤롯 성전의 벽으로 모이기 시작하며 지금의 통곡의 벽이 되었다.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이스라엘의 건국 이후 동 예루살렘은 요르단에게 점령되었었는데, 1967년 6일전쟁 때 이스라엘은 동 예루살렘을 탈환한다. 당시 유대인들이 가장 열렬하게 감격하였던 순간이 이스라엘 낙하산 부대가 동 예루살렘으로 투하되어 통곡의 벽을 탈환하는 순간이었다 한다. 통곡의 벽에 얽힌 유대인들의 절절한 사연이 느껴진다. 이제 통곡의 벽은 전 세계에 흩어진 유대인들이 이곳에 순례를 와서 기도제목을 쓴 쪽지를 벽의 돌 틈에 끼워 넣고 통곡하며 기도하는 성지가 되었다. 유대인들은 지금도 아브월 9일(Tisha B’Av)에 통곡의 벽에 모여 성전파괴와 그에 따른 유대인들의 핍박을 기억하고 그런 일이 다시 없기를 기원하는 대대적인 기도회가 열린다. 벽의 틈새가 기도쪽지로 가득 차면 이 곳을 책임지고 있는 랍비들이 일일이 그 쪽지들을 수거하여 부대자루에 담아 감람산 쪽에 있는 묘지에 묻는다. 이 때 아무도 그 내용을 읽지 않는데 이는 기도자와 하나님과 단둘만의 대화이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에서 기도제목을 목사님들이 읽고 중보하는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하나님께 드려진 기도쪽지는 성스럽기에 함부로 다루지 않고 아무데나 버리지 않는다 한다. 한국교회에서 부흥강사들이 받은 기도제목들은 과연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하다.


통곡의 벽으로 내려가는 계단에서 찍은 사진. 통곡의 벽으로 가기 위해서는 남자들은 키파(또는 ‘야마까’라고도 불리는 일종의 모자)를 써야 하는데 사진 왼쪽 중앙에 보이는 초록색과 흰색의 파라솔이 있는 곳에서 빌려준다. 그리고 어깨가 들어나는 옷이 금지되어 있어 소매 없는 샤쓰를 입었으면 헝겊으로라도 가려야 한다. 남자와 여자가 함께 들어가지 못하며 오른 쪽으로 1/3정도로 담이 있는 쪽이 여자들의 기도장소이고 그 왼쪽이 남자들 몫이다.

가까이서 본 통곡의 벽

(2012년 3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