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스부르그 왕가의 군주들이 거처했던 쉔브룬 궁전(Schönbrunn Palace)은 원래 16세기 후반기에 신성로마제국 당시 공작새, 오리, 사슴, 곰까지 잡아다 이곳에 풀어놓고 귀족들의 사냥터로 만들어진 곳이었다. 합스부르그 왕가의 군주로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를 역임했던 페르디난드 2세의 왕비에 의해 17세기에 이곳에 로코코 풍의 궁궐이 더해지며 쉔브룬 궁전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 궁은 정원이 아름답고 넓게 지어져 여름철에 주로 사용되었다. 1918년에 합스부르그 왕조가 몰락한 후 쉔브룬 궁전은 새로이 탄생한 오스트리아의 국유재산이 되었고 박물관 및 유적지로 보존되어 왔다. 오스트리아가 중립국인 된 후 쉔브룬 궁전은 중요한 국제회담의 장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궁에 있는 동물원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동물원으로 알려져 있다. 단체관광이기에 궁 안은 보지 못했고 정원만 보고 나온 게 아쉽다.
쉔브룬 궁전 일대의 비엔나 지도 – Interactive Google Map, click View Large Map for a full screen map
쉔브룬 궁전 안내지도
6 – 대 정원
7 – 넵튠(Neptune) 분수
8 – Gloriette
9 – 오벨리스크(Obelisk) 분수
10 – 천사의 샘
11- 아름다운 샘(Schöne Brunnen, 궁 이름의 근거)
12 – 로마유적 (Roman Ruin)
13 – 원형 못 (Round Pool)
17 – 장미 정원
18 – 종려나무 온실 (Palmenhaus)
Z – 동물원 입구
궁전의 앞뜰과 입구
궁전 앞뜰에 있는 2개의 분수 중 하나
넵튠 분수 앞에서 본 쉔브룬 궁전 – 사진 출처 Wikipedia. 마침 음악회 준비를 하느라 대 정원의 중앙통로를 궁전 앞에서부터 넵튠 분수까지 막고 무대설치를 하고 있어서 궁의 정면 전면사진이 용이치 않아 아쉬웠다.
Gloriette 앞에서 내려다 본 쉔브룬 궁전. 무대설치를 위한 차량들이 중앙통로에 있고, 이 사진에서는 안 보이지만, 중앙에 있는 나무들 건너 쪽에다 무대를 세우고 있었다.
중앙통로 왼쪽에 있는 정원에서 올려다 본 넵튠 분수와 Gloriette. 분수 앞에 무대 설치를 위한 장비들이 보인다.
넵튠 분수 – 그리스 신화에 근거한 분수로 궁전건물과 Gloriette 사이에 있는 대표적인 조형물이다. 바다의 신의 상징인 삼지창을 들고 조개 모습의 전차를 타고 바다에서 올라오는 바다의 신 넵튠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요정 오른쪽에는 물의 여신 테티스(Thetis)가 있다. 넵튠을 보좌하여 반인반어(半人半魚)인 네 트라이톤(Triton)이 역시 반마반어(半馬半魚)인 바닷말을 타고 넵튠의 전차를 끌고 있다.
Gloriette – 합스부르그 왕가의 권위와 영화를 기리기 위해서 세워진 건축물
오벨리스크 분수를 배경으로 본 원형 못
로마유적 – 로마제국의 멸망과 견주어 합스부르그 왕조와 쉔브룬 궁전이 영원할 것이라는 상징적인 건축물
아름다운 샘 – 반원형의 아치가 있는 누각 안에 로마신화의 물의 여신인 에제리아(Egeria)가 항아리를 안고 앉아있는 모습인데 그 항아리를 통해서 지하로부터 올라오는 샘물이 흐르고 있다. 이 샘의 이름인 Schöne Brunnen에 기인하여 궁전의 이름 Schönbrunn이 지어졌다.
종려나무 온실 – 1882년에 추가된 건물로 쉔브룬 궁전에 있는 4개의 온실 중 가장 돋보인다. 약 4,500여종의 식물을 관장하고 있는 세계에서 제일 큰 온실인데 남북 두 건물, 중앙건물, 또 이들을 연결하는 시설로 건축되었다. 남쪽 온실에는 열대지방, 북쪽 온실에는 추운 지방, 중앙온실에는 온대지방의 식물들이 있다. 온실의 이름이 종려나무 온실인 것은 종려나무와는 아무 관계가 없는 듯하다.
(2013년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