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 국립고궁박물관(國立故宮博物院)

우리가 박물관이라 부르는 것을 중국에서는 박물원(博物院)이라 하는데 이 글에서는 그냥 박물관이라 부른다. 타이페이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약 70여만 점의 유물들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들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약 10,000년간의 중국 역사를 다루고 있다. 이 박물관은 원래 중국 본토 북경에 있는 고궁박물관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일본과의 전쟁이 확대되던 1930년대에 장개석 총통은 많은 문화재들을 일본군들로부터, 또한 내전 상태에 있던 공산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귀중한 소장품들부터 상하이로 또 난징으로 옮겼다. 중일전쟁은 확대되어 이차대전으로 이어졌으며, 일본의 패망과 2차대전의 종식은 소강상태에 있었던 내전에 다시 불을 붙이게 되었다. 내전이 격화되자 고궁박물관은 내전으로부터 소장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모든 소장품을 대만으로 대피시키기로 결정하였다. 이미 지방으로 옮겨놓은 귀중한 소장품부터 대피를 시작하였는데 1948년 12월, 1949년 1월, 그리고 1949년 2월 도합 3번의 이송작전을 끝냈을 때 공산당이 내전에서 승리하게 됨으로 문화재 이송작전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고궁박물관에 있었던 소장품의 약 22% 정도가 대만으로 오게 되었고, 본토와 차별화하기 위해서 1965년에 국립고궁박물관을 개관하여 전시하게 되었다. 북경에 있는 고궁박물관보다 대만의 국립고궁박물관은 소장품의 숫자는 적지만 더 귀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어 본토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를 않는다.

박물관 전경

IMG_2458

IMG_2460

IMG_2461

IMG_2457

대만 국립고궁박물관은 박물관 내부에서의 사진촬영을 엄격히 통제하여 사진을 찍을 수가 없었다. 유명한 소장품들 중 몇 개의 사진을 빌려다가 소개한다. 줄 서서 약 30분 기다려서 겨우 5초 정도 볼 수 있었던 옥(jade)을 파서 만든 배추(翠玉白菜)가 아무래도 가장 유명한 소장품인 것 같다. 자금성의 용혜궁에서 발견된 이 조각품의 작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사실적인 정교한 조각과, 배추의 몸통과 잎으로 연결되는 천연적인 색채, 두 마리의 메뚜기를 보노라면 감탄이 절로 나온다. 사진 출처 Japan Times – 어느 분이 왜 박물관 web site가 아니고 일본 신문에서 이 사진을 따 왔냐고 물으셨는데 박물관 사진은 명암이 별로 좋지 않게 나왔더군요. 도꾜 국립박물관에서 2014년에 특별전시회가 있었는데 그 때의 기사와 함께 실린 사진이 색채와 명암이 더 잘 나왔기에 그렇게 되었습니다.

IMG_2461a

중국사람들은 돼지고기를 무척 좋아하기에 돼지고기 모양의 조각품이 있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위에 소개 한 배추 옆에 전시되어 있는 肉形石이라 부르는 이 소장품은 거의 자연석인데 역시 사실적인 정교함과 채색하지 않은 천연색으로 유명하다. 사진출처 npm.gov.tw

IMG_2461c

송나라 시대의 유품으로 추정되는 자기로 만든 아이 모양의 베개는 아이가 입은 옷과 전체적으로 정교한 조각과 색상 등으로 유명하다. 사진출처 npm.gov.tw

IMG_2461d

역시 송나라 시대의 유품으로 추정되는 연꽃 모양의 도자기 그릇. 사진출처 npm.gov.tw

IMG_2461e

박물관 앞쪽에 있는 지선원(至善園)은 송나라와 명나라 양식의 정원으로 그 크기가 약 4.7 에이커(18,800 m2)에 달한다. 풍수지리설의 여러 측면에 의해 조성된 녹지, 연못, 목조 건물들로 유명하다.

IMG_2461g

IMG_2461f

지선원에서 나와 큰 길에서 오른 쪽으로 조금 내려가면 있는 지덕원(至德園). 지선원보다 훨씬 작은 정원이기에 필자에게는 더 아늑함과 평화로움을 주는 공원이었다.

IMG_2462

IMG_2463

(2015년 4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