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투문화

얼마 전에 서울에서 조카 결혼식에 참석했었는데 별난 현상을 목도하게 되었다. 웬 남자가 축의금이 든 봉투를 여러 개 들고 와서 한꺼번에 놓고 방명록에 이름들을 쭉 쓰는 모습이었다. 궁금해서 동서에게 물어보니 대학 동창인데 친구들의 축의금을 함께 모아서 대표로 참석한 것이란다. 참석 자체를 중요하게 여기는 미국의 관습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라 흥미롭다. 우리도 미국에 온지 어언 40여년이 되니 생각이 많이도 미국화 된 것인가? 돌이켜 보니 한국에는 옛날부터 봉투문화가 있었던 것 같다. 장례식에 조의금, 생일이나 결혼식에 축의금 등등. 이런 일들은 상부상조의 훈훈한 정을 느끼게 해준다. 그러나 이것이 곗돈같이, 아니면 하나의 빚이 되어 갚아야 하는 부채 같은 부담을 안긴다면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더 큰 문제는 이런 봉투 속에 촌지가 들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국어 사전에 촌지는 ‘어떠한 사람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나 특별한 혜택을 받기 위해 뇌물로 주는 금품’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런 봉투문화가 아주 생활화 되어 있는 한국사람들 사이에서 어느새 이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문화가 교회로까지 들어왔다.

예전에는 많은 교회가 재정적으로 어려워 목사의 적당한 대우도 잘 못해드릴 때에 성도들은 명절 때나 특별히 무엇을 사면 목사를 또 전도사를 생각해서 하나 더 사서 나누던 기억이 있다. 겨울이 와서 내복을 살 때에도 한 벌 더 사고, 잔칫날을 준비하려 달걀을 살 때도 한 줄 더 사서 나누었었다. 영적 지도자가 물질로 인해 어려움을 겪지 않고 맑은 영성을 지키기 바라는 순수한 배려와 사랑에서 자발적으로 생긴 현상이다. 세월은 흘러서 이제는 많은 교회가 담임목사의 대우를 일반 직장과 비교해도 손색없게 또는 더 융숭하게 해드리고 있다. 그럼에도 옛날에 물건으로 나누던 사랑의 마음이 봉투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게 사랑을 나누는 도를 넘는 경우가 허다하다. 교회에서 촌지가 필요할 리도 없고. 미국에서도 이야기를 들어보면 일이백 불은 예사이고 몇 천 불에서 만 단위까지 봉투를 찔러준다는 이야기를 듣고 아연실색할 수 밖에 없었다. 생일이라고, 명절이라고, 특히 선교 간다고. 이런 이야기들을 접하니 목사들이 영적으로 타락하게 되는 배경에는 이 봉투문화가 한몫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중이 고기 맛을 알면 절에 빈대가 안 남는다는 말이 있다. 금지된 쾌락을 뒤늦게 맛보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이다. 이렇게 돈 맛을 본 목사는 은근히 때로는 노골적으로 성도들에게 손을 벌린다. 어려운 친구 목사를 돕기 위해서 또는 아무개 선교사를 후원하기 위해서 이런 식으로. 그런데 특징은 그 친구 목사나 선교사 이름으로 수표를 쓰는 것이 아니고, 자기가 현금으로 바꾸어서 전달하겠다고, 본인 앞으로 써 달라고 한다는 것이다. 전액이 상대에게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길은 없지만 후에 벌어지는 추한 일들로 미루어 의심을 떨칠 수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물질에 맛을 들인 자가 어찌 영적인 우위를 유지하며 성도들을 이끌 수 있겠는가?

목사에게는 영적 지도자로서 그에 맞는 존경과 benefit of doubt을 준다. 잡음이 들려도 설마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설마가 사실로 밝혀질 때 성도들이 받는 상처는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그러나 이런 봉투로 목사에게 타락의 빌미를 제공한 것은 아닌지 성도들은 반성해야 한다.

(2015년 10월)

5 Comments

  1. 봉투로 타락의 빌미를 제공했기 때문에 목사가 아닌 성도들이 반성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타락한 목사가 반성을 해야하지요.
    야한 옷을 입고 다닌 것이 성범죄의 원인이라는 것 처럼 주객이 뒤바뀐 논리라고 생각됩니다.

    Like

    1. 당연히 그런 일로 타락한 목사가 반성해야 하지요. 그러나 성도의 반성은 오히려 역설적인 이야기 입니다. 그런 일로 타락한 목사는 절대로 반성하지 않기때문입니다.

      Like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