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 가고있는 복음주의

많은 신학자들과 목사들이 현대 복음주의가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우선 바른 용어의 사용을 위해서 복음주의는 Evangelicalism이며 Evangelism은 복음전도를 뜻함을 집고 간다. 복음주의는 종교개혁 후 성경에 기록된 대로 예수그리스도의 은혜로 구원받았음을 믿는 개신교를, 영세 받고 성당에 복종하여 선행을 행하고 각종 의식을 지킴으로 구원은 받지만 죽은 후에 연옥에 가서 이름없는 성자를 포함한 무수한 성자들이 빌어주어야 비로서 천국에 갈수 있다고 믿는, 천주교와 구별하여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며, 인본주의와 결합하여 성경을 이성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자유주의 신학이 개신교에 퍼지기 시작하면서 복음주의는, 자유주의 신학에 동조하는 현대복음주의와 그렇지 않은 정통복음주의, 양대 진영으로 갈라지게 되었다. 현대복음주의는 신복음주의라고도 불리다 세월이 흐르며 단순히 복음주의라고 불리게 되었다. 한편으로 근본주의라고 불리기도 했던 정통복음주의는 타협을 모르는 20세기의 바리세파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복음주의에 대한 논문도 많이 있는 마당에 주제넘게 복음주의에 대해서 깊이 논의할 생각은 없다. 현대에 복음주의라 불리우는 신학사상의 배경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겠기에 이정도의 설명에서 본론으로 들어간다. 복음주의가 개신교의 대세를 이루고 초 대형교회의 탄생 및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친, 이름만 들어도 다 아는, 유명한 설교가도 많이 배출하였지만 한편으로는 문제점들이 노출되며 이에 대한 평신도들의 경각심이 요구되는 것이다.

복음주의에 입각한 이성적 성경해석은 진리를 위한 투쟁보다는 많은 타협을 낳았다. 이러한 타협은 교리, 시대적 흐름, 교회의 근본적인 정의 등 여러 분야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들이 복음주의에 입각한 교회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교회 또는 교단 별로 파생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비근한 예가 동성연애를 인정하고 동성애자를 목사로 세우기까지 된 것이다. TV의 보급과 함께 20세기 중반부터 Televangelist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그들의 대표적인 사역은 신유의 은사와 소위 말하는 번영신학(Prosperity Theology 또는 Prosperity Gospel)이었다. TV에서 앉은뱅이가 기도 받고 벌떡 일어나 할렐루야를 외치며 뛰어다니는 장면은 많은 사람들을 흥분 시키고 시정자들을 모았지만 그들을 몰래 추적하여 보니 연극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이제는 지나간 이야기가 되었다. 그러나 믿는 자에게 물질적인 복이 따른다는 번영신학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을 유혹하고 있다. 하나님과 깨어졌던 관계를 회복하고 구원의 은혜에 감사하며 지속적인 성화의 길을 걸으며 사는 힘든 삶보다는 공개적인 믿음의 고백과 헌금을 통하여 구원과 물질적인 복을 받을 수 있다니 사람들이 매료되는 것이 당연하겠다. 거기에 편승한 것이 잘못된 목사의 축복권이다. 축복이 목사의 전유물인양 매사에 축복을 내세우며 목사에게 축복기도를 받아야 새로 시작하는 사업이 잘되고 물질의 복을 받는다는 그런 식이다. 성경에는 제사장 만이 축복기도를 할 수 있다는 기록은 없다. 오히려 아버지가 자식을 위해서, 지도자가 민족을 위해서 한 축복기도들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축복기도는 예배예식 상의 축복기도(줄여서 축도라고 한다)와는 다른 것이다. 복음주의자들의 종교 다원주의 사상 또한 많은 문제를 야기 시켰지만 이를 주장하는 교회들의 ‘포용’이라는 달콤한 설명에 많은 교인들이 모여 소위 Megachurch로 크는 것을 보게 된다. 그런 교회들은 예배의 예식성보다는 잘 기획된 쇼무대와 같은 분위기를 자아내어 많은 젊은이들을 끌어들인다.

현대의 복음주의가 당면하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는 성경에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는 진리에 대한 확신이 없고 자유주의 신학과 타협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문제들이 소위 정통 보수교단에도 어느새 자리잡고 있으니 앞으로 10년 또는 20년 후의 교회의 모습이 어떻게 될지 걱정이 앞선다.

(2016년 8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