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 입구의 관문도시는 Gardiner라는 작은 마을인데 우리가 다녀온 2주 후에 홍수로 도로가 유실되어 고립되었고, Yellowstone 국립공원 또한 Grand Loop Road의 피해가 커서 관광객 대피 및 잠정적 폐쇄령이 내려졌다. 이번 홍수로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한 곳이 Gardiner와 북쪽 입구, Mammoth Hot Springs를 잇는 도로인데 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 같다. 이 북쪽 입구로 들어가는 길목에 Roosevelt Arch가 있다.




1872년에 Yellowstone 일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지만 원주민들과 전쟁 및 밀엽꾼들과 갈등이 계속되었고, 관광객들의 증가로 자연 훼손도 심각하였다. 급기야는 1886년에 군대를 주둔시키기에 이르렀으며 지금의 Mammoth Hot Springs 지역에 Fort Yellowstone을 지었다. 한편으로 Roosevelt는 1887년에 자연보호를 목적으로 시민단체 Boone and Crockett Club을 창립하였다. 대통령에 당선된 그는 1903년에 Yellowstone 국립공원을 방문하여 공사 중이었던 개선문 형태의 이 건축물에 주춧돌을 직접 쌓았다. 그 문은 Roosevelt Arch라 명명되었고 Yellowstone 국립공원에 이르는 관문의 상징이 되었다. 주춧돌 밑에는 성경과 Roosevelt의 사진 및 지방 신문 등이 들어 있는 time capsule을 함께 묻었다 한다. 아치 위쪽에는 Yellowstone 국립공원의 설립 근거인 Organic Act of 1872에서 따온 “FOR THE BENEFIT AND ENJOYMENT OF THE PEOPLE”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Yellowstone 국립공원 북쪽 입구를 통과하여 US-89로 가다 보면 북위 45도 표지가 나오는데 적도와 북극의 중간지점이다.

북위 45도 표지는 여러 곳에 있지만 국립공원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이 곳이 가장 유명하다고 한다. 실제 위치는 이 곳보다 0.2 mile 남쪽인데 주차공간을 내기가 적합하지 않아 여기에 표지를 세웠다 한다. 북위 45도 표지에서 조금 남쪽으로 가면 바로 Boiling River 주차장으로 가는 비포장 도로가 왼쪽으로 나는데 따로 표시가 없다. 이 곳은 온천수가 Gardiner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으로 수온이 적당하여 Yellowstone 국립공원 안에서 유일하게 온천욕이 가능한 곳이다. 그러나 눈이 녹아 강물이 불고 유속이 빨라지는 늦봄부터 한여름까지 입욕이 금지된다. 우리가 갔을 때는 주차장으로 가는 길이 아예 닫혀 있었다.


Mammoth Hot Springs는 Yellowstone 국립공원 안에 있는 8자모양의 Grand Loop Road 북서쪽 모퉁이에 있는 지역으로 Fort Yellowstone, Visitor Center 및 기타 편의시설들이 있는 곳이다.


이 지역은 Travertine(온천수의 침전물)로 이루어진 테라스로 유명하다. 이곳은 종유석 동굴을 뒤집어서 안쪽이 바깥으로 나온 것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이 지역에는 오랜 세월 동안 이산화탄소가 많은 약산성의 온천수가 지상으로 흘러나왔다. 그 과정에 바위층의 석회석을 녹였고 이산화탄소가 증발하며 석회석을 비롯한 침전물들이 남아서 쌓이게 되었다. 되풀이된 이런 과정 끝에 지금의 Mammoth Hot Springs라고 이름한 테라스가 형성되었고 이 과정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테라스는 위아래로 나뉘어 있는데 Lower Terrace는 설치되어 있는 boardwalk으로, Upper Terrace는 일방통행 차도로 군데군데 있는 주차장에 차를 대로 걸어서 볼 수 있다.














Mammoth Hot Springs에서 동쪽으로 약 4 mile 지점에 Undine Falls라는 폭포가 있는데 주차장에서 몇 걸음 가면 바로 볼 수 있다. 편도 0.4 mile trail로 가면 다른 각도에서 폭포를 볼 수가 있지만 밤새 내린 눈이 녹고 오전에 내린 진눈깨비로 길이 질퍽하여 포기.

Mammoth Hot Springs에서 남쪽으로 약 8 mile 지점에 있는 Sheepeater Cliff는 현무용암 기둥들로 이루어진 절벽이다. 이 지역에 살았던 원주민 Shoshone 족이 큰뿔양(Bighorn Sheep)을 주식으로 삼아 원주민어로 ‘Tukadika’라는 별명이 붙었는데 Sheepeater라는 뜻이라고 한다.


(2022년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