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veman과 Troll

인류는 선사시대 때부터 동굴에 살기 시작했는데 그들을 Cave Dweller 또는 Caveman이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이 단어를 영한사전에서 찾아보니 혈거인(穴居人)이라 나오는 데 나는 이 글에서 경우에 따라 동굴족이라는 이름과 함께 쓰려 한다. 혈거인은 일반적으로 동물의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고 몽둥이 같은 원시적인 무기를 사용하며 짐승 등의 먹잇감을 잡아 동굴로 돌아오는 식으로 그려져 있다. 그래서 caveman은 거칠고 무례한 사람을 지칭하기도 하며, 때로는 couch potato와 비슷한 뜻으로 하루 종일 맥주나 마시며 운동중계만 보는 게을러 빠진 남자를 가리키기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Social Media를 애용하는 현대에 와서 caveman은 하루 종일 동굴 같은 방에서 컴퓨터를 들여다보고 자판이나 두드리고 있는 부류의 인간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나는 이들을 동굴족이라 부른다.

Troll은 스칸디나비아 전설에 거인 또는 난장이로 등장하는 초능력을 소유한 존재이다. 괴상하게 생겼고 인간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를 끼치는 존재도 아니다. 그러다 보니 troll을 주제로 한 어린이들을 위한 만화영화도 있고 장난감도 많다. Internet과 Social Media가 상용화되며 troll은 social media 등에 고의적으로 선동적이고 사실이 아닌 내용을 반복 게재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새로운 뜻을 갖게 되었다. 이들은 주로 정치적 이념 또는 개인에 대한 공격이나 두둔을 목적으로 밤낮없이 댓글을 달거나 어떤 음모론을 확대 재생산하는 일종의 cyber-stalker들이다. 자신의 창의력이나 이론은 거의 없고 어디선가로부터 복사하여 퍼 나르기에 온종일을 소비하는 loser들이다.

동굴족은 심한 경우 자신이 게을러지고 사람꼴이 망가질지언정 다른 사람들에게 폐해를 끼치지 않는 반면에 troll은 사회를 피폐하게 하며 분열시키는 악영향을 준다. 필자가 걱정스럽게 보고 있는 troll 현상은 멀쩡하던 사람이 어느 순간, 사교에 현혹되듯, 이상한 괴리에 세뇌되어 빠져드는 것이다. 그리고는 악성전염병에 걸린 듯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정치인이나 연예인 등 특정인에 대한 근거 없는 낭설을 베껴서 퍼뜨리는 것을 본다. 이들에게 사실확인이라는 것은 귀찮은 짓이고 불필요한 시간 낭비이다. 자기의 이념에 맞으면 황당한 거짓 주장도 그냥 베껴서 퍼뜨린다. 이들은 자신의 SOI(Sphere of Influence: 자신이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세계 또는 사람들)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어떤 꾼의 SOI 안에 함몰되어 있는 것이 대다수이며, 사회생활도 원활하지 못한 경우를 종종 본다. 좀더 증세가 심해지면 혐오스럽고 공격적인 글들을 올리기 시작한다. 균형 잡힌 판단이 결여된 그런 글들은 표현의 자유라는 미명 아래 보호받을 자격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이런 짓들이 집단적으로 발생하면 더 큰 문제이다. 문재인은 그런 부류들을 양념이라고 했다지? 물론 자기편을 들을 때에 한해서 말이다. 김경수는 macro까지 동원하여 댓글을 조작하였다. 개딸들은 어떤가? 이재명을 보호하기 위해서 당헌을 개정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준석은 윤리위원회의 당원권 정지 결정에 반발하며 후일을 도모하기 위해서 자기를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당원가입을 독려하는 기행을 벌이고 있다. 다수의견으로 결정되는 민주적 절차를 troll들을 모아서 자기 뜻대로 휘두르겠다는 생각임이 분명하다. 음성적인 troll을 벗어나 이제는 백주 대낮에 집단 troll을 조직한다. 이들이 발사하는 소위 문자폭탄은 정치꾼들을 더욱 ‘꾼’스럽게 만들고 있다. 개인이건 집단이건 troll 현상은 매우 위험하고 민주사회를 퇴행시키는 사회악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2022년 8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