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llowstone 국립공원

살아있는 그래서 숨을 쉬는 지구를 볼 수 있는 곳, Yellowstone 국립공원을 십수 년 만에 다시 가기로 작정하고 2월부터 계획을 짜기 시작했다. 여기는 호텔 예약이 쉽지 않은 곳이라 그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하고 나머지 일정은 거기에 맞추어 앞뒤로 짜야 한다. Yellowstone 국립공원 안에는 5개 지역에 8개의 호텔 급 숙박시설이 있다. 6월 중순을 겨냥했는데 이미 빈 곳이 없다. 예상 외로 Old Faithful Snow Lodge에 Memorial Day(5월 마지막 월요일에 지키는 미국 현충일)와 그 다음 날이 비어 있어 겨우 두 밤을 예약하였고 셋째 밤은 Jackson에 예약하였다. 연휴를 끼고 있어서 방값이 $50 ~ $200 정도 더 비싸서? 아니면 몰려들 인파를 피하느라 그랬는지 Memorial Day를 끼고 빈 방이 있어서 그래도 다행이다.

남가주에서 Yellowstone 국립공원을 가는 방법은 차로 가는 것과, 비행기로 Utah주의 Salt Lake City, Idaho 주의 Pocatello 또는 Idaho Falls, Montana 주의 Bozeman, Wyoming 주의 Jackson으로 가서 차를 빌려서 가는 방법들이 있다. 비행기의 경우 비행기 값이나 항공편 수 등의 이유로 Salt Lake City로 가는 것이 대중적이다. 운전을 최소화하려면 Jackson이나 Bozeman으로 가면 좋은데 비행기 값이 비싸다. 요새 잦은 마지막 순간 항공편 취소 내지는 연발착으로 인한 불편과 그에 따른 시간에 억매이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우리는 차로 가기로 하였다. 왕복 약 2,100 mile (3,380 Km), 국립공원 안에서 이동 거리 300 mile, 기타 100 mile, 총 2,500 mile(4,023 Km)로 대장정이다. 서울 부산을 약 400 Km라 하면 왕복 5번에 해당하는 거리이다. 그래서 가는 길에 2박, Yellowstone 국립공원 안에서 2박, 인접 도시 Jackson에서 1박, 오는 길에 2박, 총 7박 8일이 되었다.

Yellowstone 국립공원은 산간 고지대이고 지역이 넓어 위치에 따라 기후가 변화무쌍하다. 날씨가 추운 편에 속하는 Yellowstone Lake 일대의 5월말 6월초 평균 최고기온은 화씨 56도(섭씨 13도), 평균 최저기온은 32도(섭씨 0도)로 선선한 편이다. 일기예보를 5월초부터 주시하였는데 계속 양호하다 우리가 떠나기 일주일 전에 5월 29일부터 30일 낮까지 눈이 올 확률이 90%로 겨울날씨 주의보가 내려졌다. 나중에 30일은 진눈개비로 바뀌어 다행이었다.

2022년 5월 30일 오전 West Yellowstone으로 가는 US-20 차창 밖의 설경
Yellowstone 국립공원 표지판

Yellowstone 국립공원은 미 의회의 입법에 기인하여 Grant 대통령이 인준함으로 1872년에 설립된 미국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금년에 150주년을 맞이한다. 국립공원이라는 개념이 다른 나라에 없었던 시절에 세워져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공원의 대부분이 Wyoming 주 북서쪽에 있으며 극히 일부가 서쪽으로 Idaho와 Montana 주, 북쪽으로는 Montana 주에 걸쳐 있다. 총 면적은 2,219,791 acres (8,983 Km2)로 미국의 63개 국립공원 중 8번째로 크다. 이는 Puerto Rico와 비슷한 크기이며 605 Km2인 서울의 약 15배에 달한다. 평균 해발 8,000 ft(2,438 m)의 고지대이기 때문에 겨울에 많은 눈이 내리고 낮 최고 기온이 영하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적설양에 따라 대개 10월부터 4월까지는 눈 위를 달릴 수 있는 특수차량과 그에 따른 면허를 갖고 있어야 들어 갈 수가 있다.

Yellowstone 국립공원은 5개의 입구가 있다 – 1. East Entrance: Wyoming 주 Cody 경유 US-14/16/20으로 가는 동쪽 입구, 2. West Entrance: Montana 주 West Yellowstone 경유 US-20으로 가는 서쪽 입구, 3. South Entrance: Wyoming 주 Jackson 경유 US-89/191/287로 가는 남쪽 입구, 4. North Entrance: Montana 주 Gardiner 경유 US-89로 가는 북쪽 입구, 5. Northeast Entrance: Montana 주 Red Lodge 경유 US-212로 가는 북동쪽 입구. 이 중 북쪽 입구만 4철 열려 있고 나머지는 적설량에 따라 대략 10월부터 4월까지 일반 차량의 통행이 제한된다. 공원 안에는 US-191, US-89, US-20를 포함해서 Grand Loop Road 및 Norris Canyon Road로 이루어진 8자형의 길이 있으며, 8개의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 북쪽 입구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Mammoth Hot Springs, Tower-Roosevelt, Canon Village, Lake Village, West Thumb & Grant Village, Old Faithful, Madison, Norris. 이 지역들은 명소들을 끼고 있으며 편의시설 또는 Ranger Station이 있다. 국립공원 중 2020년 방문객 숫자로 보면 Yellowstone 국립공원이 3백80만명으로 1천2백10만명을 기록한 Great Smokey Mountain 국립공원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 morethanjustpakrs.com에 나온 통계인데 좀 다른 통계도 있다.

Yellowstone 국립공원 지도 (Source: yellowstone.net)
Yellowstone 국립공원 도로공사 2022년 현황 (Source: nps.gov)

Yellowstone 국립공원 2021년 여름 Visitor Guide (Source: nps.gov)

Yellowstone 국립공원 2021-22년 겨울 Visitor Guide (Source: nps.gov)

Yellowstone Caldera (Source: nps.gov)

Yellowstone 일대에는 3번의 화산 대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지질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가장 최근의 화산폭발은 약 631,000년전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는데 지금의 Yellowstone 지역의 기반이 되는 Yellowstone Caldera가 형성되었다. 분화구(crater)는 화산폭발로 인하여 산봉우리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그 꼭대기가 용암 및 화산재의 분출과 함께 날라가 버려 생긴 지형을 말한다. 반면에 caldera는 화산폭발 과정 중 지하에 공간이 생겨 분화구 주변이 함몰하여 형성된 지형을 말한다.

Yellowstone 국립공원에서 볼 수 있는 Hydrothermal(열수, 熱水) 작용에 의한 현상은 hot spring(온천), geyser(간헐온천), mudpot(한국어 표현이 없는 것 같다), fumarole(분기공) 등이 있다.

열수 작용 개념도 (Source: nps.gov) – A, C: 지면에서 물이 땅 속으로 들어가서, B: 땅속 깊이 있는 고열의 magma(암장)에 의해 가열되어, D: 생성된 압력에 의해 수증가나 뜨거운 물이 지면 위로 온천, 간헐온천, mudpot, 분기공 등의 형태로 분출된다.

온천은 우리가 잘 아는 대로 지하수가 데워져서 항상 흘러나오는 것인데, 대류(對流) 현상이 용이하게 출구가 열려 있어 적당하게 온도가 조절되어 분출은 하지 않는 것이다. 반면에 간헐온천은 분출 경로에 공간 등이 있어서 끓는 물이 모이고 압력이 어느 단계에 이르렀을 때 수증기와 뜨거운 물이 함께 분출하는 것을 말한다. Mudpot은 Thermophile(호열성 생물)이 황화수소를 분해하여 황산으로 변이시키고, 이는 다시 돌을 분해하여 진흙으로 만들은 상태에서 가스와 온천물이 분출되며 마치 진흙이 튀어 오르며 끓는 것 같이 보이는 것을 말한다. 분기공은 수증기가 지표에 난 출구를 통해 뿜어 나오거나 스며 나오는 것을 말한다.

온천 호수는 종종 특이한 색을 띠는 데 이는 더운 물에 사는 호열성 생물에 의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Grand Prismatic Springs는 대표적 호열성 생물 5 종류가 함께 살고 있어서 5가지의 색깔이 다 나타나는 아주 특이한 온천 호수이다.

Grand Prismatic Spring에 살고 있는 5종류의 호열성 생물과 그들이 띠는 일반적인 색깔 (Source: nps.gov) – A: Archaea 푸른색, B: Thermus Aquaticus 옥색, C: Synechococcus 노란색, D: Phormidium 오렌지색, E: Calothrix 갈색

이 호열성 생물들은 사는 물의 온도와 산도가 달라서 물색에 따라 온도와 산도도 가늠할 수가 있다. A: Archaea 화씨 95-185도 (섭씨 35-85도) pH 7-9, B: Thermus Aquaticus 화씨 104-174도 (섭씨 40-79도) pH 5-9, C: Synechococcus 화씨 122-166도 (섭씨 50-72도) pH 7-9, D: Phormidium 화씨 95-122도 (섭씨 35-50도) pH 6-8, E: Calothrix 화씨 86-113도 (섭씨 30-45도) pH 6-9.

Yellowstone 국립공원에는 흔히 버팔로라 부르는 Bison(바이슨), 늑대, 곰, 스라소니, 살쾡이, 표범, 코요테, 여우, Elk(엘크) 등의 야생동물이 많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곰은 귀찮게 하지 않으면 안전하지만 너무 가까이 가거나 하여 성질이 나면 치명적일 수가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공원 당국은 바이슨이나 엘크로부터 최소 25 yards (23 m), 곰이나 늑대로부터 100 yards (92 m)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라고 권고한다.

야생동물과의 안전거리 지침 (Source: nps.gov)

공원 당국은 곰들이 많이 사는 지역을 Bear Management Area로 지정하고 때때로 출입을 제한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길에서 가까운 곳은 안전하지만 야생동물들에게 너무 가까이 가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Backcountry에서 hiking이나 camping 할 때는 Bear Spray 등을 준비하여 특별히 신경 써야 하겠다.

곰 출몰 지역 (Source nps.gov)

(2022년 5월)

 

p.s. 인생은 새옹지마, 호텔이 우리가 원하던 6월 중순에 없어서 투덜댔는데, 그렇게 예약이 되었다면 대피 내지는 아예 들어가지도 못할 번 했습니다. (2022년 6월)

Leave a comment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